2009년 6월 17일 수요일

[호타루] 패자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전쟁의 역사.



우리에게 철도원으로 익숙한 후루하타 야스오 감독의 <호타루>는 전쟁을 소재로 한 영화다. 호타루는 <반딧불이>를 의미한다. 죽어서도 반딧불이가 되어 고향을 찾겠노라는 젊은 군인들의 바람을 담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포스터에서 나와 있는 카피 "2년만에 다시 찾아온 눈물과 감동"은 철도원의 흥행과 감동을 어떻게든 이어가보려는 마케팅적 노림수로, 영화를 보고 나면 적지않은 어색함을 느끼게 된다. 호타루는 철저하게 승리국의 입장에서 해석된 전쟁영화와 달리 패전국의 담담함을 진지하게 담아냈다.

전쟁을 다루는 수 많은 영화나 영상에서 승리와 패자는 곧 선과 악으로 치환되곤 한다. 예컨데 조성모의 뮤직비디오 [아시나요]를 보더라도 이런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극적인 요소, 긴장감을 위해서 묘사되는 베트남군의 모습은 하나같이 험상궂고, 약탈과 폭행을 일삼는 미개인처럼 그려진다. 반대로 미군과 한국군은 정의를 수호하고, 약자를 돕는 선한 캐릭터로 그려진다. 역사가 승리한 자들의 관점에서 작성된 편파적인 기록인 것처럼 감성을 자극하기 위한 캐릭터 설정은 종종 역사적 사실 혹은 진실과는 관계없이 묘사되기도 한다.

 


호타루는 그런 측면에서 반대의 경우, 패자의 입장에서 전쟁을 바라보는 시선을 체험할 수 있다. 2차세계대전에서 패전국인 일본의 입장을 대변하듯, 일본인들의 전쟁 이후 모습들을 그린다. 목숨을 걸고 전쟁에 참여할 수 밖에 없었던 학도병의 정당성과 가미가제로 대표되는 자살특공대를 애국심으로 미화하는 방식은 마치 승자가 역사를 자랑스런 전유물로 인식하는 행위와 닮아 있어 불편하다.



하지만 헐리웃의 휘발성 강한 전쟁영화들처럼 적국이나 제 3국을 철저하게 타자화하면서까지 자국의 역사를 미화하지는 않는다. 전쟁의 승리를 위한 조선인의 징집에 대해서 미흡하나마 사죄의 의미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전범으로써의 천황의 의미를 재해석하는 대사들도 주목할만하다.. 한국인의 입장에서 불편한 진실을 자극하지 않고, 일본의 전쟁에 부득불 희생양이 될 수 밖에 없는 상황들을 연출함으로써 일본인 관객과 한국인 관객을 동시에 의식한 듯한 장면들도 눈에 띈다.

호타루에서는 의외로 반가운 얼굴도 볼 수 있다. 한국에서도 한때 청순한 이미지로 사랑을 받았던 일본출신 배우 유민이 도모코의 젊은 시절을 짧게 나마 연기한다. 일본의 국민 배우, 다카쿠라켄 역시 편안하면서도 안정적인 역활을 소화하며 영화를 더욱 빛내주고 있다.

유민

전우들과 함께 장렬히 최후를 맞이하지 않고 살아 남은 참전자, 늘 떳떳하지 못하고 짐을 지고 사는듯 가슴 한구석이 답답한 후지에와 조선인 선임병의 마지막 유서를 전하기 위해서 한국행을 자처하는 야마오카와 도모코는 전후 일본세대의 상처를 여실히 보여준다. 영원히 치유될 수 없는 전쟁의 상처보다 더욱 깊은 아픔은 결국 사람들의 마음 속에 각인된 전쟁의 허무함이 아닐까. 반전과 평화 그리고 용서라는 키워드를 적절하게 녹여냈을 뿐만 아니라 패자의 입장에서 바라본 전쟁의 의미와 일본의 슬픈 현실들이 모두 포함된 영화가 바로 호타루다.

댓글 2개:

  1. 이런 영화가 있었군요...

    후루하타 야스오 감독도 기대되고 출연 배우도 좋은..^^

    너무나도 좋은 정보 진심으로 감사 드립니다...^-^

    답글삭제
  2. @어찌할가 - 2009/06/17 16:17
    안녕하세요. 어찌할가님. 철도원을 너무 재미있게 봐서 선택한 영화였는데요.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 좋은 영화입니다. 기회가 되시면 꼭 한번 감상하셔도 좋을 영황에요. 댓글 감사합니다.

    답글삭제